[React]11 [React] React Hook _ useEffect useEffect 컴포넌트의 생에 주기에 맞춰 데이터를 받아오거나 DOM을 변경하는 등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함수이다. 클래스 생명 주기 메서드 중 componentDidMount와 compomentDidUpdate, componentWillUnmount가 합쳐진 것을 생각하면 된다. 첫 번째 인자로 수행할 코드, 데이터 구독 등의 setup이 들어가고, 두 번째 인자는 의존성 배열로 필수값은 아니지만 어떤 변수가 변경될 때만 effect가 필요하다면 의존성 배열에 변수를 추가하면 된다. useEffect(effect, [dependencies]) useEffect(effect) : 렌더링 시마다 setup이 실행된다. useEffect(effect, []) : 컴포넌트가 최초 렌더링 되었을 때만 실.. 2023. 3. 21. [React] React Hook _ useState 리액트의 Hook이란? 함수형 컴포넌트 내에서 state와 컴포넌트의 생명주기를 연동할 수 있게 해주는 자바스크립트 함수이다. 클래스 없이 리액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Hook 사용 규칙 컴포넌트 최상단에서만 호출한다. 반복문, 조건문, 중첩 함수 내에서 호출하지 않는다. 리액트 컴포넌트 함수 내에서만 호출해야 한다. 순수 자바스크립트 함수 내에서 호출하지 않는다. eslint-plugin-react-hooks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규칙에 맞는지 자동으로 검사해 준다. CRA로 앱을 구성하였다면 해당 플러그인이 이미 포함되어 있다. useState 컴포넌트 내에서 상태 변수를 관리하는 함수다. 상태 변수와 상태를 갱신하는 함수를 반환하며, useState에 전달된 첫 번째 인자(init)가 초기.. 2023. 3. 9. [React] 컴포넌트의 라이프사이클 (Lifecycle) 리액트의 모든 컴포넌트는 생명 주기를 갖는다. 이는 크게 마운트(생성) > 업데이트 > 언마운트(제거)의 세 단계로 구분하는데,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Effect를 사용,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생명 주기 메서드를 사용하여 생명 주기에 맞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클래스형 컴포넌트 생명 주기 관리 1. 마운트 시 호출되는 메서드 constructor: 컴포넌트가 마운트 되기 전에 호출된다. this.state에 객체를 할당하여 state를 초기화하고, 인스턴스에 이벤트 처리 메서드를 바인딩한다. getDerivedStateFromProps: 컴포넌트가 최초 마운트될 때와 업데이트될 때 호출된다. state를 갱신하기 위한 객체를 반환하거나, null을 반환하여 아무것도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p.. 2023. 3. 6. [React] React와 Vue Vue는 Evan You가 개발한 오픈소스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이다. 개발 당시 라이브러리처럼 활용하도록 개발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보다 자유도가 높고, 그 이유로 라이브러리로 취급하기도 한다. React와의 공통점은 컴포넌트 기반의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것과 단방향으로 데이터가 바인딩된다는 것, Virtual DOM을 활용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 등이 있다. 둘의 공통점을 두고 보았을 때 둘 모두 UI 구현에 집중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Reac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코드의 형태인데, React는 JSX 문법을 사용하는 반면 Vue는 템플릿 기반의 문법을 사용한다. , , 태그를 기준으로 HTML, JS, CSS 코드를 나누어 작성한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진입장벽이 비교적 낮고, 코드의.. 2023. 3. 1. [React] props와 state React에서 props란? 컴포넌트에 원하는 값을 넘겨줄 때 사용하는 input 값이다. props를 넘겨받은 컴포넌트 내부에서는 임의로 수정할 수 없는 읽기 전용 값이다. props로 넘겨줄 수 있는 값은 변수, 함수, 객체, 배열 등 JS 요소라면 제한이 없다. props를 사용하는 주목적은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넘기거나, state의 변화를 주거나, 컴포넌트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함이다. React에서 state란? 컴포넌트의 생애 주기 동안에 컴포넌트 내에서 생성, 변경될 수 있는 값이다. state가 생성된 컴포넌트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state가 변경되면 해당 컴포넌트는 리렌더링 된다. 따라서, state를 가능한 간단하게, 구성 요소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반드시 setState 함.. 2023. 2. 27. 이전 1 2 3 다음